[NestJS] DB 인덱싱
1. 인덱스란?책의 목차처럼, 테이블의 특정 컬럼 값과 그 값이 저장된 물리적 위치(레코드의 주소)를 매핑한 자료구조이다.인덱스를 통해 테이블 전체를 순차 검색(Full Table Scan)하는 대신, 필요한 레코드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 조회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.2. 인덱스 하기 전5만건의 데이터를 넣은 후(authorId가 3), 약 20건의 post만 authorId가 2인 사용자로 지정했다면,Postman으로 요청 시 약 170ms 가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.DB에서 좀 더 자세히 분석을 해보면, Parallel Seq Scan on posts_model 이라고 뜨는데 이것은 posts_model을 병렬 스캔을 통해 authorId가 2인 사용자를 찾는다는 뜻이다. (요약하자면 오래걸린..
2025. 5. 21.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