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NestJS] Redis 적용하기 - Rate Limiting
1. Rate Limiting 이란?모든 사용자들이 API에 제한없이 계속해서 호출할 수 있다면 CPU, 메모리, DB 등의 리소스가 부족해진다.결국 과도한 서버비용이라는 최악의 결말을 보게 된다.이러한 DDOS 등을 막기 위해 Rate Limiting을 구현해야 한다.API Gateway나 NGINX와 같은 웹 서버에서 처리하면 되는 것 아닌지?물론 API Gateway나 NGINX 같은 웹 서버에서 처리를 제한하면 서버에 부담가지 않게 할 수 있다.다만 두 가지의 단점이 있는데,1. 유연성 부족- 사용자별(user ID) 한도, 경로별 다른 정책, 클레임 기반 차등 제한 등 세밀한 설정이 어렵다.2. 정책 변경 시 배포 필요- NGINX 설정 파일 수정 후 리로드(reload)해야 반영이러한 단점으로..
2025. 4. 21.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