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path = require('path');
const app = express();
app.set('port', process.env.PORT || 3000);
app.get('/', (req, res) => {
res.sendFile(path.join(__dirname, './index.html'));
});
app.post('/', (req, res) => {
res.send('hello express');
});
app.get('/test', (req, res) => {
res.send('hello test');
});
app.listen(app.get('port'), () => {
console.log('익스프레스 서버 실행');
});
express 에선 다른 파일을 읽어올 때 fs 모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 단지 res.sendFile();로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.
express에서 내부적으로 fs 모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일이다. 추가적으로 현재 디렉토리에서 index.html을 실행시키기 위해 path 모듈을 사용하였다.
추가 키워드 (npm ls {패키지이름})
npm ls {찾고자하는 패키지 이름}
npm ls 키워드를 이용하면 해당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
package.json 뿐만 아니라 package-lock.json에 참조한 패키지들을 찾아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는 키워드이다.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익스프레스 웹 서버 만들기 - 미들웨어(morgan, cookieParser, express.json, express.urlencode) (0) | 2025.01.13 |
---|---|
익스프레스 웹 서버 만들기 - 미들웨어(정의, 에러처리, next() 활용) (0) | 2025.01.13 |
익스프레스 웹 서버 만들기 - express 서버 사용해보기 (1) | 2025.01.12 |
Node Package Manager (npm) (0) | 2025.01.11 |
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(0) | 2025.01.11 |